홈으로
[명산ㆍ계곡] 도동의 섬개야광나무 및 섬댕강나무군락
  • 등록일1999-01-25
  • 작성자 / 김**
  • 조회5439
소 재 지 : 경북 울릉군 울릉읍 도동 산 8번지
소 유 자 : 국유
숲 길 이 : 약 5.0ha
우 점 종 : 섬댕강나무
수 고 : 0.5∼2.0m 섬개야광나무
흉고직경 : 소관목 임 령 : 50∼100년
수 관 폭 : 1∼2m
보호지정품격 : 천연기념물 제51호(''62.12. 3 지정)
지 정 사 유 : 울릉도의 특산식물 군락지 울릉도 도동읍내를 감싸고 있는 뒷산 절벽 능선부위로서 암석노출이 심하며 표토는 거의 유실되고 바닷가로서 심한 해풍의 영향을 받은 지역이다. 경사가 매우 급하고 토양은 현무암류의 풍화토로서 암회색 내지 흑색의 미사질 양토이며 토심이 얕고 건조하여 매우 척박한 상태이다.
울릉도 특산식물인 섬개야광나무 및 섬댕강나무 군락지이지만 강한 바람과 표토유실 등 지형적 조건이 임목생육에 대단히 부적합하므로 생육상태가 근본적으로 불량하며 사람들의 접근이 어렵다. 우산고로쇠, 동백나무, 검팽나무, 층층나무, 작살나무, 보리밥나무, 섬쥐똥나무, 섬벚나무 등 여러 종의 활엽수들과 혼생하고 있다. 그 중 섬개야광나무는 암상식생으로 건조에 강하고 원래 양수이나 음지에서도 잘 견디는 수종이지만 기타 활엽수들이 번무하여 차츰 멸종되어 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울릉도는 지리적으로 경북 포항에서 북동쪽으로 217km 강원도 후포에서 159km, 묵호에서 161km 떨어진 동해상의 화산에 의해 생성된 불규칙한 5각형의 섬으로서 육지와 달리 울릉도 특유의 기후적, 토양적 환경조건을 갖추고 있다. 섬주위 둘레는 길이 약 57km, 총면적 약 73㎢로서 상주인구는 ''90년말 현재 약 16천여 명에 달한다. 울릉도 특산식물의 자생지로서 학술적 가치를 인정하여 천연기념물로 지정(''62년12월 3일) 보호되고 있으나 지형, 지세 등 제반 입지환경적 조건을 고려할 때 인위적인 보호관리에는 매우 어려운 상태이다. 그러나 울릉도에서 사라지면 지구상에서 멸종되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종족보존을 위하여 임업연구원과 울릉군청에서는 1992년 6월 2일 현지에서 섬개야광나무 자생지 복원작업을 실시하는 등 보호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섬개야광나무 및 섬댕강나무 군락지의 보존을 위해서는 생육상태, 분포지역 및 면적 등 보다 철저한 정밀조사를 실시하여 식물 사회학적 측면에서 지속적인 보호관리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첨부파일
  • t26001.jpg [154.0 KB] 첨부파일 다운로드 (다운로드 95회)
만족도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조사선택